IT 공부용
1. S3 본문
- 스토리지
스토리지는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
1. DAS (like 외장하드)
Direct Attachted Storage
PC나 서버에 다이렉트로 꽂아서(usb처럼) 사용하는 스토리지.
서버와 하드웨어를 1:1로 연결.
각 서버는 자신이 직접 파일 시스템을 관리한다.
쉽게말해 하드를 여러개 끼울수 있는 서버의 외장하드!
서버에 직접 외장저장장치를 연결하므로 속도는 빠르고 확장은 쉽지만, 연결 수에 한계가 있음.
NAS (like 클라우드)
Networt Attached Storage
쉽게말해 DAS에 네트워크 기능 탑재!
서버와 저장장치가 이더넷등의 LAN방식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방식이다.
LAN은 TCP/IP 프로토콜 기반이고 저장장치는 SCSI를 사용하므로 이들간 통신을 위해 중계역할을 하는 파일서버가 필요하다.
스토리지 내에서 직접 파일을 읽기/쓰기/공유 한다.
*LAN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광대역 통신망과는 달리 학교, 회사, 연구소 등 한 건물이나 일정 지역 내에서 컴퓨터나 단말기들을 고속 전송 회선으로 연결하여 프로그램 파일 또는 주변장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 형태.
SAN
Storage Area Network
서버와 저장장치를 NAS와는 다르게 (NAS는 표준 이더넷 연결)
Fiber channel(광채널) switch로 연결한 고속데이터 네트워크.
저장장치를 향상시켜 장치가 로컬 연결장치로 서버의 운영 체제에 표시되도록 한다.
DAS와 NAS의 단점보완.
서버당 접속 스토리지 수 제한 해결
전용 파이버채널 스위치(광채널)를 둠으로써 빠른속도의 연결을 유지하는것이 특징.
- S3
Simple Storage Services의 약자로 확장성 굿 무한대 저장 가능 사용한 만큼 비용 지불 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S3를 백업용도로 많이 사용
어디서나 원하는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구축된 객체 스토리지
- AMI
Amazon Machine Image의 약자로 EC2 인스턴스 생성에 필요한 모든 소프트웨어 정보를 담고있는 템플릿 이미지
S3 가즈아~!
=================================메모장 업로드======================================
폴더 만들기
메모장 파일 업로드 시킴
권한설정 때리고
권한설정 됐으면 url ㄱㄱ
완성
=====================================자동 백업 해놓기==========================================
- IAM
일단 사용자 추가
태그추가는 다음 검토도 다음
csv 다운로드 무조건 눌러
https://docs.aws.amazon.com/ko_kr/cli/latest/userguide/getting-started-install.html
최신 버전의 AWS CLI 설치 또는 업데이트 - AWS Command Line Interface
이전 버전에서 업데이트하는 경우 unzip 명령을 실행하면 기존 파일을 덮어쓸지 묻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스크립트 자동화와 같은 경우에 이러한 프롬프트를 건너뛰려면 unzip에 대한 -u 업데이
docs.aws.amazon.com
access key 나 secret key는 excel 파일 아까 받은거에 있음
aws s3 sync C:\backup_AWS s3://mybuket456/backup/AWS_KEY.ppk
C드라이브밑에랑 S3 버킷에 폴더 하나씩 만들고 백업하는거
이렇게 올라온것을 확인
aws s3 sync C:\backup_AWS s3://mybuket456/backup/
이렇게 치면 다 넣을 수 있음
-자동화 ㄱㄱ
test.txt에서
aws s3 sync C:\backup_AWS s3://mybuket456/backup/
넣고 bat 파일바꾸면
실행해서 ㅈㄴ 실험해봐 ㄱㄱ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Auto Scaling (0) | 2022.11.07 |
---|---|
4. DNS, 로드 밸런싱 (0) | 2022.11.04 |
3.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0) | 2022.11.04 |
2. VPC(Virtual Private Cloud) (0) | 2022.11.03 |
0. AWS 기초 및 EC2생성 (0) | 2022.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