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공부용

[리눅스 마스터 1급] 2302회 1차/2차 합격 후기 및 공부 방법 본문

▶자격증

[리눅스 마스터 1급] 2302회 1차/2차 합격 후기 및 공부 방법

호롤롤로루 2024. 1. 8. 17:38

ⓛ Linux Master 자격증 이란? 

- Linux Master 자격증은 KAIT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실시하는 국가 공인 민간 자격증

- 1급 1차는 1과목 20문항 + 2과목 40문항 + 3과목 40문항으로 총 100문항

- 1급 2차는 필기 10문항 + 실기 5 ~ 7문항 총 15 ~ 17문항

- 리마 1급은 리마 2급과 다르게 시험을 보는 인원도 적고 1년에 2번밖에 시험이 없어서 자료가 많이 부족하다.

② 공부 기간

- 필기 3주 / 실기 2~3주

- 평일 하루 1~2시간 / 주말 3~4시간

③ 응시 가격

- 필기 55000원 / 실기 77000원

④ 공부 방법 (1차)

- 1차는 객관식이고, 100문제 4지선다이다.

- 나는 리마 2급과 마찬가지로 책을 사지 않았는데, 이유는 책 자체가 쓸모없는 내용이 많고 700p나 되는 내용을 전부 공부하기에 시간이 부족해서 바로 기출부터 풀었다.

- 리눅스 마스터 2급을 합격해 놓은 상태여서 1급 1차도 쉽게 보고 준비를 했었지만 개인적으로 2급 실기보다 1급 필기가 3배는 더 어려웠다..

- 1차는 기출에서 많이 나오긴 하지만 아주 조금씩 다르게 꼬아서 낸다. (문제와 답을 외우는 경우 틀리게끔 문제를 냄.)

- 그렇기 때문에 기출을 먼저  2회독하고 자주 나오는 항목을 크게 정리해놓고 추가로 나올만한 것들을 공부했다.                Ex) 데이터 backup, restore 관련 / Raid 관련 / 계정 관련 등등..

- 예를 들어 기출로 공부를 하면서 아래와 같은 문제가 나오면, pwck 명령어 외에 pwconv, chage, lslogins 명령어도 같이 공부하고 정리하는 식으로 개인 노트를 만들면서 외웠다.

⑤ 공부 방법 (2차)

- 개인적으로 나는 1차에 비해서 2차가 훨씬 쉬웠는데 기출문제를 분석해 보면 2차는 진짜 매년 나오는 범주안에서만 문제가 나온다.

- 시험 방식은 각자 PC에 OS자체를 리눅스를 설치하여 커맨드 환경으로 부팅이 된 환경을 제공해 준다. 계정은 시험이 시작하기 직전에 알려주었으며, 정답지에 답을 볼펜으로 적는 형식이다. (오픈북 형식임.)

- 2차 시험 볼 때 정답지에 답을 직접 적다보니 시간이 매우 많이 부족했다. (두 문제 통으로 못품)

- 그렇기 때문에 시험볼 때는 각 애플리케이션 설정 파일 위치는 당연히 외우고 있어야 하고 기존에 시험에 나왔던 명령어는 완벽하게 외운 상태로 들어가야 한다.

- 공부 방법은

1. 인터넷에 떠도는 기출문제 5개년치를 다운로드하여서 문제 분석

2. 자주 나오는 내용, 나올만한 내용 정리 하면서 처음 보는 문제들이 보일 때마다 개념을 전부 숙지.

3. 개인 PC에 가상머신 설치 후 CentOS 버전을 시험환경과 동일하게 맞춰서 실습 준비.

4. 정리한 내용과 기출 무한 반복.

5. 기타 사항

- find, man, help 명령어 자주 써보기

⑥ 시험 공략

1. 1~10번 문제

- 1번부터 10번 까지는 배점이 낮고 기본 명령어나 옵션에 대한 문제가 많다.

- 요런 문제가 나오면 일단 1번 정답이 pgrep인걸 정확하게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 그럼 2번까지 man이나 help 명령어로 해당 옵션값을 알 수 있다. 

- 또한 비슷한 명령어만 기억이 나고 정답인 명령어가 기억이 안 날 때도 man 명령어를 활용하면 된다.

ex) 모듈 관련 문제 나옴 - 정답은 insmod인데 modprobe 밖에 기억이 안 남 - man modprobe 아래와 같이 나옴.

2. 11~15번 문제

- 11번부터 15번은 배점이 정말 큰데, 문제 자체는 어렵지 않다.

- 항상 나오는 apache / iptable / vsftpd / NFS / DHCP / squid / DNS / Mail / Samba 등등 에서 다 나옴.

- 여기는 설정파일 위치만 알면 거의 대부분 맞추는 문제이다. ( iptable은 그냥 외워서 가자. man으로 검색 가능하지만 검색하다 시간 다 날림. 내가 그랬음)

- 설정파일 위치는 대 부분 설치해 보면 /etc 밑에 있다. 

- 설정파일 절대 못 찾겠다 싶으면 rpm 명령어로 -qc 옵션 주믄됨.

⑦ 시험 팁

- 대부분 인터넷 되는 환경이고, yum 사용 금지라는 말이 따로 없으면 yum으로 vim부터 설치하면 좋다.

- vim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옵션 값이 한눈에 보임. (실제 시험장에서 긴장해서 옵션값 찾는데 소모하는 시간 절약 가능)

- 그리고 실제 시험장에서 pgUp, pgDn, 방향키가 안 먹어서 설정파일이 잘리거나 vim 파일 안에서 헤매는 경우가 많다.

- 시험 감독관한테 물어보거나 ctrl+shift+방향키 써보자. (내가 시험 볼 때는 왼쪽 shift키가 안 먹었었음 오른쪽 shift키만 되는 사람 많았음.)

- 시험에 나오는 패키지들은 대부분 설치되어 있음.

- 요약본은 기출보고 자기가 정리해야 오래 남음. -> 남이 써놓은 요약본은 참고 정도로만 활용

- 시험 시작하면 무조건 11~15번 문제 먼저 풀자

⑧ 시험 후기

- 시험 장소는 무슨 IT학원에서 봤었다.

- 23년도 2차 시험 난이도는 필기는 좀 어려웠고, 실기는 걍 무난 평타 

- 대부분 젊은 사람들이지만 나이많으신 실무자 분들도 몇몇 보였음.

- 시험자체가 IT직무할 때 도움이 될 것 같지는 않음.. 

- 시험비 왤케 비싸냐 이건 합격해도 돈아까움. (그래도 시험비 비싸서 열심히 준비함)

- 난 책을 안샀지만 책 까지 샀었으면 돈이얼마야..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마스터 2급] 합격 후기 및 공부 방법  (1) 2024.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