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공부용
0. 데이터 베이스 설치 및 이론 본문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의 집합 + 여러명의 사용자(동시 접속가능) + 응용프로그램이 공유
그렇기 때문에 Excel은 데이터베이스가 되지 못함
Oracle(상용, 유료)
MySQL(공짜)
# DB / DBMS 특징
- 데이터의 무결성
오류가 없는 무결성, 제약조건을 통해 무결성 구현
- 데이터의 독립성
데이터베이스와 응용 프로그램은 독립적인 관계여야함
- 보안(Security)
데이터베이스 안의 데이터에 대한 허가된 사람만이 데이터에 접근 가능
- 데이터 중복 최소화
- 데이터 안전성 향상
# DBMS = 데이터베이스 관리
#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 DBMS에 데이터를 구축하고 관리, 활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
# 계층형 DBMS란?(1960년)
- 처음으로 나온 DBMS
- 각 계층은 트리 형태 1:N 관계
# 망형 DBMS란?(1970년)
- 계층형 DBMS의 문제점 개선
- 1:1, 1:N, N:M 관계 지원 -> 효과적이고 빠른 데이터 추출 가능
# 관계형 DBMS (RDBMS)
- 현재 사용되는 DBMS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이라 불리는 최소 단위로 구성
- 테이블은 하나 이상의 열로 구성
-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구조
- 테이블의 관계(Relation)
기본키와 외래키를 사용해 관계를 맺어줌
두 테이블을 부모와 자식의 관계로 묶어줌
장점
- 유지보수 좋음, 무결성 보장, 환경에 따라 쉽게 변함
단점
- 시스템 자원을 많이 차지하지만, 요즘 하드웨어 발전으로 보완됨
# DDL & DML & DCL
명령어 종류 명령어 설명
|
||
데이터 조작어(CIUD) (DML : Data Manipulation Language) |
SELECT | 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검색하기 위한 명령어를 말하는 것으로 RETRIEVE 라고도 함 |
INSERT UPDATE DELETE |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들어 있는 데이터에 변형을 가하는 종류(데이터 삽입, 수정, 삭제)의 명령어들을 말함. | |
데이터 정의어(CAD) (DDL : Data Definition Language) |
CREATE ALTER DROP RENAME TRUNCATE |
테이블과 같은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들로 (생성, 변경, 삭제, 이름변경) 데이터 구조와 관련된 명령어들을 말함. |
데이터 제어어 (DCL : Data Control Language) |
GRANT REVOKE |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객체들을 사용하도록 권한을 주고 회수하는 명령어들을 말함. |
트랜잭션 제어어 (TCL : Transaction Control Language) |
COMMIT ROLLBACK SAVEPOINT |
논리적인 작업의 단위를 묶어서 DML에 의해 조작된 결과를 작업단위(트랜잭션) 별로 제어하는 명령어를 말함. |
# 설치 방법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하고 그냥 다다운 ㄱㄱ
헤이디SQL도 설치 ㄱㄱ
# 정보시스템 구축 절차 요약
분석 설계 구현 시험 유지보수
#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관련 용어
- 테이블
회원이나 제품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표로 표현
열(=컬럼=필드)
- 테이블의 구성 요소
- 회원 테이블의 경우에는 아이디,회원이름 주소등의 열로 구성
행(=로우=레코드)
- 실질적인 데이터
# 폭포수 모델
- 가장 핵심적인 단계는 업무 분석과 시스템 설계
-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는 이 두 단계를 합쳐서 전체 공정의 최소 50% 이상을 할당해야함
- 각 단계가 명확히 구분되어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가 명확해짐
# db모델링 하는이유
공백 줄이고, 사용하기 편하고, 메모리 들잡아먹고
# 계정별로 권한 주기
팀장새끼는 root와 동일한 DBA역할 - 모든작업 가능
사장새끼는 읽을 권한만
스태프새끼는 읽기/쓰기 가능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View (0) | 2022.09.23 |
---|---|
4. CREATE, INSERT,DELETE,DROP,UPDATE,TRUNCATE (0) | 2022.09.22 |
3. Select문 (0) | 2022.09.22 |
2. DB - 테이블 생성(CLI) (0) | 2022.09.21 |
1. DB 기본 설정 + GUI로 DB 만져보기 + Select (0) | 2022.09.21 |